주녁, DevNote
article thumbnail
MSA Dockerizing (2) - 다듬기
DevOps 2023. 1. 19. 00:02

지적과 댓글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도커 삽질 개선하기 이전편 요약 이전 편 도커 삽질하기 에서는 단순 리눅스 컨테이너를 생성해서 직접 명령어를 타이핑하면서, 컨테이너의 상태를 변경하였다. 그 결과, 컨테이너가 재부팅되면 대부분의 데이터와 상태가 소실되어 같은 과정을 반복해야 했다. 목표 도커 컨테이너 설정을 간소화, 자동화해보자 공통 설정 분리 → env 파일 생성 DB에 대한 dockerfile 작성 → 이미지 생성 Package(서브도메인B, 지원도메인D)에 대한 dockerfile 작성 → 이미지 생성 docker-compose를 이용해서 실행 여정 env 파일로 설정 분리 # DB Configuration TZ=Asia/Seoul DB_HOST=0.0.0.0 # 외부 DB와 연결하고 싶을 때 DB..

article thumbnail
MSA Dockerizing (1) - 시작하기
DevOps 2023. 1. 19. 00:02

지적과 댓글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들어가기에 앞서.. 본 게시글은 MSA 형태로 구성된 서비스를 하나씩 도커라이징(dockerizing)하는 게시물입니다. 도커 명령어를 배우는 초심자 입장에서 작성한 글로 삽질했던 시간 순서대로 작성하였습니다. 중급자 이상 분들은 필요한 명령어만 골라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현재 상황 현재 가지고 있는 MSA 형태의 어플리케이션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서비스 별로 실행파일이 분리가 되어 API 요청으로 통신하고 있긴 하지만, 실행 시, 같은 디렉토리 내에서 상대위치 참조를 하고 있다. 즉, 물리적으로 분리가 어려운 상태이다. 따라서, 단계적, 점진적으로 도커라이징하고자 한다. 목표 이번 글에서는 최소한의 분리를 하려고 한다. 어플리케이션(MSA를 통째로) 과 DB를 각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