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녁, DevNote
article thumbnail

지적과 댓글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개요

공학자로써 단어의 정의는 굉장히 중요하다.

오늘은 논쟁이 굉장히 많은 주제이자, 헷갈리기 쉬운 주제인

REST와 REST API, RESTful API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범위

정의를 살펴보기에 앞서 범위를 살펴보고 가자.

직접 그린 그림..

위 그림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REST는 어떠한 큰 범주이고,

RESTful API는 완전히 REST에 속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HTTP APIREST API랑 유사하다고 적혀있고

REST, RESTful API와 일부 공통점이 있어보인다.

 

그렇다면 각각 어떤 정의길래 위와 같은 그림이 나오는 것일까?

 


정의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REST :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아키텍쳐 요소를 추상화 한 것.

RESTful API : REST 개념을 잘 지킨 API.

HTTP APIREST API : REST 개념을 기반으로 한 API. (REST 개념을 일부만 따른다.)

여기서 `REST API`의 정의에 대한 논쟁이 발생한다. (이후 서술)

 

REST의 정의가 추상적이라서 잘 이해가 가지 않을 것이다.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자.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REST 개념을 창시한 로이 필딩(Roy Fielding)

REST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란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웹)을 위한

아키텍쳐 요소를 추상화 한 것이다.

(원문참조)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REST) style

The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REST) style is an abstraction of the architectural elements within a distributed hypermedia system.

- Architectural Styles and the Design of Network-based Software Architectures (Roy Thomas Fielding, 2000)
 
(용어심화)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
  • 이 논문에서는 대표적으로 Web을 의미한다.
  • 원문(정확한 정의를 찾기 어려워서 논문에서 사용된 문장으로 갈음했다.)_

Distributed hypermedia provides a uniform means of accessing services through the embedding of action controls within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retrieved from remote sites.

- Architectural Styles and the Design of Network-based Software Architectures (Roy Thomas Fielding, 2000)
 

  • 해석하자면 다음과 같다.

분산 하이퍼미디어는 원격 사이트에서 검색된 정보 표시 내에 작업 제어를 포함하여 서비스에 액세스하는 균일한 수단을 제공한다.

(용어심화) 아키텍쳐 요소 추상화
  • 이 논문에서 아키텍쳐 스타일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
  • 원문은 아래와 같다

An architectural style is a coordinated set of architectural constraints that restricts the roles/features of architectural elements and the allowed relationships among those elements within any architecture that conforms to that style.

- Architectural Styles and the Design of Network-based Software Architectures (Roy Thomas Fielding, 2000)
 
  • 해석하자면 다음과 같다.

아키텍처 스타일은 아키텍처 제약 조건의 조정된 집합이다. 아키텍처 요소의 역할/기능을 제한하고 허용되는 모든 아키텍처 내에서 해당 요소 간의 관계는 해당 스타일을 따른다.

 

즉, REST는 아키텍쳐 스타일(제약조건)이자, 아키텍쳐 스타일의 집합인 것이다.

REST를 구성하는 스타일은 6가지가 있다.

이를 모두 지켜야만 REST라고 논문저자는 강조하고 있다.

 


REST의 조건 6가지

 

로이 필딩의 논문에 따르면

REST는 다음 6가지 스타일(제약조건)을 지켜야

REST라고 부를 수 있다고 주장했다.

 

  1. Client-Server 구조 : 자원 요청자 <-> 제공자의 역할 분담.
  2. Stateless : 무상태성, 상태저장 X
  3. Cache : 네트워크 효율성을 위한 캐시 응답 가능.
  4. Uniform interface
  5. Layered System : 프록시 서버, 로드 밸런싱 등 다중계층 사용가능.
  6. Code-on-demand(Optional) : 서버에서 보낸 코드를 클라이언트에서 스크립트 형태로 실행가능.

HTTP 스펙을 따른다면

4. Uniform interface 항목을 제외하고 대부분 지켜진다.

이 때문에 HTTP API는 REST를 일부 준수하는 API라고 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REST API의 뜻은 HTTP API를 의미한다.

논문의 저자는 REST API라고 사용하지 말 것을 주장하므로 유의가 필요하다.

 

한편 제시된 6가지의 스타일에 따라,

API 중에서 6가지를 모두 만족하면 RESTful API라고 할 수 있다.

 


핵심 스타일 Uniform interface

 

이 항목은 4개의 제약조건으로 구성되어 있다.

  1. Identification of resources
  2. = 리소스가 URI로 식별 가능해야 한다.
  3. Manipulation of resources through representations
  4. = 리소스를 representation 전송으로 조작해야 한다.
  5. Self-descriptive messages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 메시지의 각 항목이
     어떤 의미인지까지 모두 알수있도록 
     명세나 문서가 있어야 OK.
    
     ex) message content가 JSON이면, JSON의 각 항목의 의미를 모두 적어야 한다.
     {
         HTTP/1.1 200 OK
         Content-Type: application/json
         Link: <https://명세문서주소>; rel="profile"
         {"id":1, "name":"john doe"}
     }
  6. = 자기서술적인 메시지를 가져야 한다.
  7. HATEOAS(Hypermedia as the engine of application state)
     응답(Response) 메시지에 
     다음 상태로 이동가능한 Hypermedia(링크)가 있어야 한다.
     {
         "data": {
             "id": 1000,
             "self": "http://localhost:8080/api/article/1000", // 현재 api 주소
             "next": "http://localhost:8080/api/article/1001", // 다음 article을 조회하는 URI
             "comment": "http://localhost:8080/api/article/comment", // article의 댓글 달기
         },
     }
  8. = 하이퍼링크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전이가 가능해야 한다.

 


이렇게까지 구현해야하는가?

 

논문 저자 로이 필딩(Roy Fielding)

꾸준히 REST에 대한 논의를 펼치면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남겼다.

시스템을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REST에 시간을 낭비하지 말라!

 

또한, 논문에도 같은 의미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Uniform Interface 제약조건은 비효율적이다.

이 방식은 표준화된 방식을 강요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최적이 아닐 수 있다.

 


마무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REST의 개념과 범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REST가 꼭 필요한 경우라면 RESTful하게 구현해야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REST를 일부 준수하는 HTTP API로 구현하도록 하자.

+ 용어 사용에 신중을 기해서 사용하도록 하자!


출처

Architectural Styles and the Design of Network-based Software Architectures (Roy Thomas Fielding, 2000)

그런 REST API로 괜찮은가 (이응준님, DEV 2017 발표)

REST API가 뭔가요? (얄팍한 코딩사전님)

[10분 테코톡] 정의 REST API (정 님, 우아한테크코스 백엔드 4기)

profile

주녁, DevNote

@junwork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